도시가스를 절약하는 것은 난방비 부담을 조금이나마 덜 수 있는 방법입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난방비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도시가스를 절약하는 것은 더욱 중요합니다. 겨울철 도시가스 절약하는 방법과 캐시백 혜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도시가스 절약하는 방법
실내 적정 난방 온도 유지
실내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는 것은 도시가스를 절약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난방 실내 온도를 18~20도로 설정하면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고 온도를 1도 낮출 때마다 약 7%의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 적정온도를 유지하게 되면 보일러가 자주 켜졌다 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이 높아집니다. 보일러를 자주 켜고 끄는 것은 가스 소비를 증가시키고 난방비가 많이 나올 수 있습니다.
실내 온도를 너무 높게 설정할 경우 오히려 건조함을 유발할 수 있고 또 너무 낮은 온도로 설정하면 실내 공기가 너무 낮아져 추위를 느끼게 됩니다. 적정 온도를 유지하면 난방비 절약은 물론 실내 온도를 쾌적하게 유지하게 됩니다.
적정 습도 유지
실내 적정 온도를 유지하는 것과 함께 실내 습도를 40~60%로 유지하게 되면 열전달이 빨라져 난방 효율이 높아지고 체감 온도가 높아져 난방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실내 습도를 유지하는 방법으로는 가습기나 젖은 수건을 활용하거나 하루에 2~3회 창문을 열어 환기시켜 줍니다.
온수 사용 최적화
온수를 사용할 때 온도를 40~60도로 설정하고 사용 후에는 수도꼭지를 냉수 쪽으로 돌려놓아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줄입니다. 온수 온도를 낮추면 보일러가 물을 데우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줄어들어 가스 사용량이 감소하게 됩니다.
외출 시 보일러 설정
외출할 때는 보일러를 끄지 말고 '외출 모드'로 설정합니다. '외출 모드'는 보일러가 최소한의 에너지를 사용하여 실내 온도를 유지하도록 합니다. 보일러를 완전히 끄고 외출할 경우 실내 온도가 너무 낮아진 상태에서 다시 데우는데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끄는 것보다 외출 모드를 사용하는 것이 난방비 절약에도 도움이 됩니다. 외출 모드에서는 16~18도로 온도가 유지되고 집이 너무 차가워지지 않도록 합니다. 겨울철 장시간 외출 시 보일러를 완전히 끌 경우 배관이 얼어 동파될 수 있는데 외출 모드를 사용하면 이러한 위험을 줄이고 배관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보일러 점검
보일러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청소하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보일러 내부에 먼지나 이물질이 쌓이게 되면 열전달 효율이 떨어져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기 때문에 필터를 청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일러는 지속적으로 사용되면서 부품이 마모되거나 고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점검을 통해 작은 문제를 미리 발견하고 부품을 미리 교체하는 등 수리하면 큰 고장을 예방할 수 있고 보일러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도 도움이 됩니다.
도시가스 캐시백 혜택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은 주택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제를 사용하는 가구를 대상으로 동절기 동안 도시가스 사용량을 절감하면 현금으로 돌려줍니다. 12월부터 3월 동절기 기간 동안 전년도 사용량보다 3% 이상 절약하면 절감량에 따라 현금으로 캐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참여대상
참여대상은 주택난방용 도시가스 요금제를 사용하는 모든 가구입니다. 단 취사용 도시가스 요금제는 제외됩니다.
신청기간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기간은 2024년 12월 1일부터 2025년 3월 31일입니다. 2024년 12월부터 25년 3월 동절기 기간 동안 사용한 도시가스 사용량이 23년 12월부터 24년 3월까지 사용한 도시가스 사용량에 따라 캐시백이 지급됩니다.
참여방법
1.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k-gascashback.or.kr)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
2. 24년 12월부터 3월 절감기간 동안 전년도 동기간 대비 도시가스 사용량을 3% 이상 절감합니다.
3. 절감기간이 끝난 후 도시가스 절약 캐시백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캐시백을 신청합니다.
캐시백 지급기준
절감율 | 3%이상 10%미만 | 10%이상 20%미만 | 20%이상 30%이하 |
캐시백 지급 단가 | 50원 | 100원 | 200원 |
캐시백 제외조건
1. 전출입, 명의변경 등으로 인해 사용량 조회가 불가능한 경우
2. 주택난방용 이외의 요금제를 사용하는 경우
3. 신청자와 계약자 명의가 다른 경우